# 리눅스 기본 명령어
1. 기본 명령어
# whoami -> 내가 지금 접속해있는 유저 이름 확인
# pwd (print working directory) -> 현재 내가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
# ls (list) ->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폴더와 파일 확인
# ls -l -> 파일 리스트 확인
# ls -rlt -> 파일 리스트 확인 ( 생성한 시간 순서 )
# cd Documents -> Documents 디렉토리로 이동
# cd .. ->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
# cd -> 시작 디렉토리로 이동
# cd - -> 이동하기 전 디렉토리로 이동
# mkdir (make directory) -> 디렉토리 생성
내 사용자 명은 root, 첫 디렉토리 이름도 root다.
Documents 폴더로 이동해서 안의 정보들을 확인해봤더니 아무것도 없었고, 뒤로 가기를 통해 다시 돌아왔다.
어느 디렉토리로 이동해있는 상태던지 cd만 입력하면 첫 디렉토리로 돌아갈 수 있다.
* 경로에는 크게 두 가지 경로가 있다.
(1) 절대 경로 : cd [내가 가고자하는 정확한 위치]
ex) cd/root/Desktop
(2) 상대 경로 : cd [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]
ex) cd ..
첫 화면에서 test01 디렉토리를 만들고, 만들어졌는지 확인!
디렉토리에도 잘 들어가진다.
test03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test04 디렉토리를 또 만들어봤다.
그리고 cd로 첫 디렉토리로 돌아가서, test04 디렉토리로 이동해봤다.
바로 cd test04 하면 안 나온다.
cd root/test03/test04 해도 안 나온다.
cd /root/test03/test04로 해줘야 나온다.
즉, 디렉토리 이름만으로 바로 들어가는건 내가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바로 연결된 것만 가능하다.
떨어져있다면 하나씩 디렉토리를 타고 가거나, 한 번에 가려면 모든 디렉토리 정보를 적어야하고, 첫 디렉토리 앞에도 /를 붙여야한다.
cd .. 와
cd - 의 차이점
첫 디렉토리에서 한 번에 test04로 이동했을 때
cd .. -> test04의 하위 디렉토리인 test03으로 이동
cd - -> test04로 이동하기 전 디렉토리인 root로 이동
2. touch 명령어
파일의 용량이 0인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
# touch a1.txt -> 용량이 0인 a1.txt를 생성
# ls -l a1.txt -> a1의 정보 확인 ( 마이너스 + 소문자 '엘' )
가운데에 보이는 0이 용량이다.
잠시 바탕화면의 home 폴더에 들어가보면 보기와 같이 a1.txt가 생성되어 있고, 텍스트 내용은 비어있다.
3. mkdir 여러번 반복하기
/root/test30/test31/test32/test33/test34/test35
를 만들고 싶다면,
이런 식으로 cd와 mkdir를 계속 쳐줘야한다.
디렉토리를 만들었다고 그 디렉토리로 이동해있지는 않기 때문.
이 작업을 한 번에 하려면 -p를 활용하면 된다.
mkdir -p /root/test40/test41/test42/test43/test44/test45
이렇게 한 번에 만들고, cd로 쭉쭉 올라가보면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
4. 파일 삭제하기
root 폴더에 이것저것 막 만들어놨는데
그 중에서
a. txt 와 a.txt, 가 있다.
실수로 만든 a.txt, 를 삭제하고 확인하자.
파일을 삭제할 때는
rm ['삭제할 파일명'] 하면 된다.
정말 삭제할거냐구 한 번 더 물어보면 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된다.
# 디렉토리 삭제하기
디렉토리를 삭제할 때는
rm 뒤에 추가로 정보를 붙여야 한다.
rm -r '디렉토리명' -> 디렉토리를 삭제하고, 디렉토리 밑의 파일과 디렉토리들도 전부 삭제한다.
test03 속에는 test04 디렉토리도 있는데
-r을 통해 한꺼번에 지웠다.
근데 친절하게도 test03 지울거야? test04도 지운다? 계속 물어본다.
계속 y를 눌러주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#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도 따로 있다. (rmdir)
얘는 확인도 안하고 쿨하게 지워버린다.
5. 디렉토리의 정보 확인하기
디렉토리의 정보를 확인하려면
ls -ld '디렉토리명'
하면 되는데,
이 때도 마찬가지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디렉토리만 할 수 있고,
떨어진 디렉토리를 확인하려고 하면 아예 없는 디렉토리라고 나와버리니 유의하자.
'나 취준생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권한 관리 명령어 (0) | 2021.01.05 |
---|---|
vi 편집기 명령어 (0) | 2021.01.05 |
리눅스로 SQL문 구현하기2 (0) | 2020.12.30 |
리눅스로 SQL SELECT 문 구현하기 (0) | 2020.12.30 |
리눅스 기본 명령어2 (0) | 2020.12.29 |